WIRE & CABLE

WIRE & CABLE 완전 가이드 Part 1 (기본 개념 & 규격 표준)

ElectroMaster 2025. 6. 23. 07:51
반응형

WIRE & CABLE 완전 가이드 Part 1 📏

기본 개념 & 규격 표준

전선과 케이블의 기본 개념부터 규격 표준까지, 모든 것의 시작점입니다! 🚀

 


🎯 WIRE vs CABLE: 헷갈리는 이 둘의 차이점

WIRE란? 🔌

**WIRE(전선)**는 전기 신호나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도체입니다.

주요 특징:

  • 단일 도체 또는 여러 가닥의 도체가 하나의 절연체로 감싸진 형태
  •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
  • 주로 단거리 배선이나 내부 배선에 사용
  • 유연성이 높아 굽힘이 용이

일반적인 용도:

  • 전자기기 내부 배선 🖥️
  • 브레드보드 연결용
  • 단순한 전력 공급선
  • 제어 신호 전송

CABLE이란? 📡

**CABLE(케이블)**은 여러 개의 WIRE가 하나의 외피(자켓) 안에 묶여있는 복합 구조체입니다.

주요 특징:

  • 복수의 도체가 하나의 외피로 보호
  • 복잡한 다층 구조 (도체 + 절연체 + 실드 + 자켓)
  •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기능 강화
  • 장거리 전송에 적합

일반적인 용도:

  • 통신 케이블 (LAN, 동축케이블) 🌐
  • 전력 케이블 (고압, 저압)
  • 오디오/비디오 케이블 🎵
  • 산업용 제어 케이블

💡 구분하는 핵심 포인트

구분WIRECABLE

구조 단순 (도체+절연체) 복합 (다층 구조)
보호 수준 기본적 강화된 보호 🛡️
용도 내부/단거리 외부/장거리
가격 저렴 💰 상대적으로 비쌈
설치 환경 실내, 보호된 공간 실외, 열악한 환경
신호 품질 기본 고품질 (실드 등) ✨

📏 SQ/AWG 표준의 모든 것

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두 가지 주요 표준을 완벽히 마스터해보겠습니다! 📐

SQ (Square Millimeter) 📊

SQ는 도체의 단면적을 제곱미리미터(mm²)로 나타내는 미터법 기반 표준입니다.

특징:

  •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움 ✅
  • 아시아, 유럽에서 주로 사용
  • 숫자가 클수록 굵은 전선
  • 실제 단면적과 직접 연결

일반적인 SQ 규격 분류:

  • 0.08mm² ~ 0.5mm²: 신호선, 센서용
  • 0.75mm² ~ 1.25mm²: 제어선, 통신용
  • 2.0mm² ~ 3.5mm²: 일반 전원선
  • 5.5mm² ~ 14mm²: 중전력용
  • 22mm² 이상: 고전력/산업용 ⚡

AWG (American Wire Gauge) 🇺🇸

AWG는 미국에서 개발된 전선 굵기 표준으로, 숫자가 작을수록 굵은 전선을 의미합니다.

특징:

  • 북미에서 주로 사용
  • 로그 스케일 기반 (기하급수적 변화)
  • 숫자가 작을수록 굵음 (반비례 관계)
  • 역사적으로 제조 공정에서 유래

AWG 계산 공식:

 
직경(inch) = 0.005 × 92^((36-AWG)/39)
단면적(mm²) = (직경 × 25.4)² × π / 4

🔄 SQ ↔ AWG 완전 변환표 (4/0까지)

AWG 크기변환 계산기 링크

https://www.digikey.kr/ko/resources/conversion-calculators/conversion-calculator-wire-size

 

신호 및 제어용 (고AWG)

AWGSQ (mm²)직경 (mm)전류용량 (A)주요 용도

32 0.032 0.20 0.3 마이크로 신호 🔍
30 0.05 0.25 0.5 신호선 🔊
28 0.08 0.32 0.8 통신선, 센서
26 0.13 0.40 1.3 데이터선 📡
24 0.20 0.51 2.1 제어선, TTL
22 0.33 0.64 3.0 저전력 DC
20 0.52 0.81 5.0 일반 신호

전원 및 일반용 (중AWG)

AWGSQ (mm²)직경 (mm)전류용량 (A)주요 용도

18 0.82 1.02 7 소형 전원선 ⚡
16 1.31 1.29 10 일반 콘센트 🔌
14 2.08 1.63 15 가정용 배선 🏠
12 3.31 2.05 20 에어컨 전용 ❄️
10 5.26 2.59 30 중전력 모터
8 8.37 3.26 40 대용량 기기
6 13.3 4.11 55 분전반 배선

대용량 전력용 (저AWG)

AWGSQ (mm²)직경 (mm)전류용량 (A)주요 용도

4 21.2 5.19 70 주간선 ⚡
2 33.6 6.54 95 간선용
1 42.4 7.35 110 대용량 간선
1/0 53.5 8.25 125 초대용량 🔥
2/0 67.4 9.27 145 건물 간선 🏢
3/0 85.0 10.40 165 수전 간선
4/0 107.2 11.68 195 변압기 1차 ⚡

📊 SQ vs AWG 특성 비교

특성SQAWG

직관성 매우 높음 ⭐⭐⭐⭐⭐ 낮음 ⭐⭐
정확성 정확한 단면적 근사값
사용 지역 아시아, 유럽 🌏 북미 🇺🇸
계산 편의성 쉬움 ✅ 복잡함
산업 표준화 미터법 기반 야드파운드법
미래 전망 확산 추세 📈 기존 시장 유지

💪 굵기에 따른 특성 변화

가는 전선 특성 (높은 AWG/낮은 SQ)

  • 유연성: 매우 높음 🤸‍♂️
  • 저항: 높음 (전압 강하 주의)
  • 전류 용량: 낮음
  • 방열: 어려움
  • 비용: 상대적으로 저렴 💰
  • 용도: 신호, 제어, 센서

굵은 전선 특성 (낮은 AWG/높은 SQ)

  • 유연성: 낮음 (시공 어려움)
  • 저항: 낮음 (전압 강하 최소) ✅
  • 전류 용량: 높음 ⚡
  • 방열: 우수함
  • 비용: 비쌈
  • 용도: 전력, 모터, 간선

🎯 선택 기준 가이드

1. 전류량 기준 선택

 
필요 전류 × 1.25 (안전율) ≤ 케이블 허용 전류

2. 전압 강하 기준 선택

허용 전압 강하율:

  • 조명용: 3% 이하 💡
  • 모터용: 5% 이하 ⚙️
  • 정밀 기기: 1% 이하 🔬

3. 경제성 기준 선택

  • 초기 비용 vs 운영 비용
  • 전력 손실 비용 고려
  • 교체 주기 및 유지보수 비용

📏 실무 계산 예시

예시: 100A 부하, 50m 거리, 단상 220V

  1. 전류 기준: 100A × 1.25 = 125A 이상 필요 → 1/0 AWG (125A) 또는 53.5mm² 선택
  2. 전압 강하 계산:
     
    전압강하 = 2 × 100A × 50m × 0.32Ω/km ÷ 1000 = 3.2V
    전압강하율 = 3.2V ÷ 220V × 100% = 1.45% ✅
  3. 결론: 1/0 AWG (53.5mm²) 적합! 🎯

🔄 변환 실무 팁

빠른 근사 변환법

  • AWG 3 증가 = 단면적 약 1/2 📉
  • AWG 10 증가 = 단면적 약 1/10
  • SQ 4배 = AWG 약 6 감소 📈

기억하기 쉬운 기준점

  • 14 AWG ≈ 2mm² (가정용 기준선)
  • 10 AWG ≈ 5mm² (에어컨용)
  • 4 AWG ≈ 20mm² (대용량 기준선)

국가별 선호 표준

  • 한국, 일본: SQ 주로 사용 🇰🇷🇯🇵
  • 중국, 유럽: SQ 표준화 🇨🇳🇪🇺
  • 미국, 캐나다: AWG 고수 🇺🇸🇨🇦
  • 국제 프로젝트: 두 표준 병기 📋

🎉 Part 1 마무리

축하합니다! 이제 여러분은 WIRE와 CABLE의 기본 개념과 SQ/AWG 표준을 완벽히 마스터하셨습니다! 🎓

✅ Part 1에서 배운 핵심 내용

  • WIRE vs CABLE 명확한 구분
  • SQ/AWG 표준의 이해
  • 4/0 AWG까지 완전한 변환표
  • 굵기별 특성과 용도
  • 실무 선택 기준과 계산법

🚀 다음 예고: Part 2

구성 요소 & 도체 가닥수에서 만나요!

  • 구리 도체의 종류 (BARE vs TINNED)
  • 절연체의 모든 것
  • 실드와 자켓의 역할
  • 단선 vs 연선의 비밀

계속해서 전문가로 성장해나가요! 💪✨

반응형